안녕하세요 좋문대생 입니다.
앞으로 하고싶은 일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뭐든 '돈'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돈을 버는 수단을 생각해보면
1. 월급
2. 부수입
3. 투자수입
이정도가 생각납니다.
월급은 일단 안정적으로 받고 있지만
현재 회사에서 고용이 불안정한 상황입니다.
회사는 일을 많이하면 많이 받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내가 일을 적게하고 돈을 많이 버는 일을 찾아야하고
연구해야합니다.
그러지 위해서는 부수입 또는 투자수입에 대해
연구해야합니다.
주식공부는 필수기 때문에 주식공부를 하려고 합니다.
지주사 투자의 대한 기준
오늘의 공부영상
1. 지주사는 어떻게 돈을 버는가?
결국 회사의 오너는 지주사를 가지고 있다.
지주사 아래의 사업회사에서 돈을 벌면
그 돈의 월급은 지주사의 회장님에게 간다.
지주사라는 회사는 사업을 해야하는데
사업회사에서 로열티를 올려서 받는다.
사업회사가 커질수록 로열티를 높게 받는다.
대신 핵심이 되는 부동산은 지주사가 모두 가지고 있다.
어떤 회사는 특허까지 가지고 있다.
결국 사업회사가 커지면 돈을 버는 구조다.
배당을 받는 회사.
2. 지주사 마다 배당률 기준
그렇다면 지주사의 배당을 알아보자.
가장 굵직한 기업의 배당을 알아보면 대충 그림이 나올 것 같다.
지주사의 배당률을 설명하면서 비교를 하는 방법을 알려줌
보통 큰 회사들은 은행, 통신사 보다 조금 낮고
그 보다 작은 기업은 은행, 통신사 보다 약간 높다.
먼저 삼성, SK, LG를 보면
삼성은 2%대
SK,LG는 3.5% 대 이다.
그렇다면 통신주 들의 현재 배당률을 살펴보자.
3사 통신사 모두 6%를 넘기고 있다.
그렇다면 은행은 ?
신한지주와 KB금융만 살펴보자.
둘다 5% 대 이다.
배당 투자를 할려면 기준이
은행, 통신사가 기준이 될 것 같다.
만약 고금리 시대에 예금이자 보다
은행, 통신사 배당이 높다면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본다.
주가가 오르면 주가 차익도 받고,
그동안 배당을 받으면서 버틸 수 있다.
이래서 주식을 해야하는 것 같다.
물론 배당에 대한 이자도 있지만,
예금도 만기시 이자를 내기 마련이다.
좀 더 유동적인게 주식인 것 같다.
그렇다면 두산과 효성의 배당은 ?
두산은 최근에 두산로보틱스 상장때문에 가격이 많이 올라서
배당수익률이 낮게 책정 되는 것 같다.(예상)
효성은 7% 이지만 배당을 늘리지 않고,
정치권에 엮이고, 사업을 잘 못하고 등등 많은 리스크가 있다고 한다.
테이버님을 통해서 에코프로와 카카오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는데
지주사 인데 왜 사는지 이해가 안된다고 한다.
맞는말이다.
에코프로와 카카오의 배당수익률은 고작 0.1%이다.
에코프로의 80% 이상은 에코프로비엠에서 돈을 번다.
카카오도 카카오뱅크,페이, 등등 사업회사에서 돈을 번다.
양극재가 매력적이면 에코프로비엠을 사는게 맞지
에코프로는 절대 아니다.
3. 결론
지주사 투자를 하려면 배당률을 확인하고,
사업을 확인하고,
큰 기업들과 비교해서 매력적이고, 안정적인지 체크 해야한다.